메랜 메이지(썬콜) 3차 스킬트리 공략 (빌드 분석 및 추천)

레벨 70을 달성하고 2차 전직 '위자드(썬,콜)' 과정을 마쳤다면, 드디어 강력한 광역 마법과 유틸리티를 배우는 메이지(썬,콜)3차 전직을 하게 됩니다. 메이지(썬,콜)은 주력 광역기 아이스 스트라이크와 데미지 증폭 스킬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 등을 배우며 파티 플레이와 솔로 플레이 모두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메이지(썬,콜)의 주요 스킬들을 분석하고, 플레이 스타일에 따른 추천 스킬 빌드와 그 근거, 그리고 운영 팁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3차 전직관 로베이라
3차 전직관

 

메이지(썬,콜) 핵심 스킬

  • 아이스 스트라이크: 주변의 적들에게 강력한 얼음 속성 광역 데미지를 입힙니다. 메이지(썬,콜)의 주력 사냥 스킬입니다.
  •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 마법 공격 시 MP 소모량을 증가시키는 대신 최종 데미지를 증폭시키는 핵심 버프 스킬입니다.
  • 매직 부스터: 마법 시전 속도를 2단계 향상시켜 공격 효율을 높입니다.
  • 매직 컴포지션: 얼음과 번개 속성을 결합하여 공격하는 스킬입니다. 특정 속성 반감 몬스터에게 유용합니다.
  • 씰: 주변 몬스터를 일정 시간 동안 봉인 상태로 만듭니다. 특정 사냥터(망둥이 집 등)에서 활용됩니다.
  • 파셜 레지스턴스: 얼음과 번개 속성 내성을 증가시켜 생존력을 높여줍니다.
  • 썬더 스피어: 단일 대상에게 강력한 번개 속성 데미지를 주는 스킬입니다. 보스전 등에서 활용됩니다.

 

메이지(썬,콜) 3차 스킬트리 상세 공략

3차 스킬트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뉩니다. 빠른 레벨링을 위해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을 우선 마스터하고 추후 SP 초기화를 하는 빌드와,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주력 광역기인 아이스 스트라이크를 우선 마스터하는 빌드입니다.

 

스킬 빌드 1: 엠플리피케이션 먼저

매직 부스터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

이 빌드는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매직 부스터를 빠르게 활성화하여 2차 스킬인 썬더볼트의 데미지와 속도를 극대화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파티 사냥 등에서 빠른 몬스터 처리와 레벨링이 가능하지만, 주력 광역기인 아이스 스트라이크 습득이 늦어지므로 Lv. 77~83 구간에서 SP 초기화가 필수적입니다.

  • 스킬 순서 (초기화 전):
    1.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 3 (선행)
    2. 매직 부스터 11
    3.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 30 (M)
    4. 아이스 스트라이크 3 (선행)
    5. 이후 SP를 모으거나 다른 스킬에 임시 투자 후 초기화 진행

아이스 스트라이크
매직 부스터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
매직 컴포지션
씰
파셜 레지스턴스
썬더 스피어

  • 스킬 순서 (Lv. 77~83 SP 초기화 후):
    1. 아이스 스트라이크 30 (M)
    2. 매직 부스터 11
    3.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 30 (M)
    4. 매직 컴포지션 30 (M)
    5. 씰 20 (M)
    6. 매직 부스터 20 (M)
    7. 파셜 레지스턴스 20 (M)
    8. 썬더 스피어 1 (남는 SP)
  • 빌드 분석 및 근거:
    • 엠플리피케이션 우선 이유: 썬더볼트 데미지를 극대화하여 파티 사냥 등에서 빠른 젠 클리어를 목표로 합니다.
    • 매직 부스터 11 우선 이유: 최소 SP 투자로 공격속도를 최대(2단계)로 끌어올려 엠플리피케이션과 시너지를 냅니다.(사냥 스타일에 따라 컴포지션과 부스터 마스터 순서는 변경 가능합니다)
    • SP 초기화 필수: 주력 광역기인 아이스 스트라이크 없이 썬더볼트만으로는 사냥터 선택에 제약이 크므로, 일정 레벨(보통 70 후반 ~ 80 초반)에 SP 초기화를 통해 아이스 스트라이크를 마스터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초기화 후 스킬 분배: 아이스 스트라이크를 최우선 마스터하고, 이후 유틸리티(매직 컴포지션, 등)와 남은 버프(매직 부스터, 파셜 레지스턴스)를 순차적으로 마스터합니다.
  • 추천 대상:
    • 파티 사냥 위주로 최대한 빠른 레벨링을 추구하는 유저

 

스킬 빌드 2: 아이스 스트라이크 먼저

아이스 스트라이크
매직 부스터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
매직 컴포지션
씰
파셜 레지스턴스
썬더 스피어

이 빌드는 3차 전직 후 주력 광역기인 아이스 스트라이크를 가장 먼저 마스터하여 안정적인 사냥 능력을 확보하는 방식입니다. SP 초기화가 필요 없어 편리하며, 솔로 플레이 비중이 높은 유저에게 적합합니다.

  • 스킬 순서:
    1. 아이스 스트라이크 29
    2.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 3 (선행)
    3. 매직 부스터 11
    4. 아이스 스트라이크 30 (M)
    5. 엘리먼트 엠플리피케이션 30 (M)
    6. 매직 컴포지션 30 (M)
    7. 씰 20 (M)
    8. 매직 부스터 20 (M)
    9. 파셜 레지스턴스 20 (M)
    10. 썬더 스피어 1 (남는 SP)
  • 빌드 분석 및 근거:
    • 아이스 스트라이크 우선 이유: 3차 주력 광역기를 빠르게 확보하여 다양한 사냥터에서 안정적인 사냥 효율을 제공합니다. SP 초기화가 필요 없어 편리합니다.
    • 엠플리피케이션/부스터 투자: 데미지 증폭을 위한 엠플리피케이션과 공격 속도 확보를 위한 부스터를 투자합니다. (사냥 스타일에 따라 컴포지션과 부스터 마스터 순서는 변경 가능합니다)
    • 이후 스킬 분배: 유틸리티(매직 컴포지션, )와 남은 버프(매직 부스터, 파셜 레지스턴스)를 순차적으로 마스터합니다.
    • 상대적 단점: 엠플리피케이션 우선 빌드에 비해 초기 썬더볼트 데미지가 낮아 특정 파티 플레이 환경에서는 선호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 추천 대상:
    • SP 초기화 없이 안정적인 성장을 선호하는 유저
    • 솔로 플레이 비중이 높은 유저
    • 다양한 사냥터를 활용하는 유저
  • Tip (아이스 스트라이크 29 선투자): 아이스 스트라이크를 29까지만 먼저 투자하는 이유는, SP 1개를 아껴 매직 부스터 11레벨 달성 시점을 1레벨 더 앞당기기 위함입니다. (84레벨에 부스터 11 달성 가능) 이후 아이스 스트라이크를 마저 마스터합니다.
  • Tip (매직 부스터 vs 매직 컴포지션): 매직 부스터 레벨은 지속 시간 증가와 MP 소모량 감소 효과만 있습니다. 따라서 공격적인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매직 컴포지션을 먼저 마스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시련의 동굴 3'과 같이 특정 속성이 중요하지 않은 사냥터 위주로 플레이한다면, 버프 편의성을 위해 매직 부스터를 먼저 마스터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1. 3차 스킬트리는 크게 엠플리피케이션 빌드와 아이스 스트라이크 우선 빌드로 나뉩니다.
  2. 엠플리피케이션 우선 빌드는 빠른 레벨링에 유리하며, 아이스 스트라이크 우선 빌드는 안정적인 성장과 편의성에 강점이 있습니다.
  3. 매직 부스터 마스터 여부는 편의성과 다른 스킬(매직 컴포지션)과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4. 씰, 파셜 레지스턴스, 썬더 스피어 등은 주력 스킬 이후 후순위로 투자합니다.

이상으로 효율적인 메이지(썬,콜)의 3차 스킬트리 공략이었습니다. 자신의 상황과 목표에 맞는 스킬 빌드를 선택하여 효율적인 성장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4차 아크메이지(썬,콜) 스킬트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