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전직 '검사' 과정을 마치고 레벨 30이 되면, 둔기 또는 검을 사용하는 '페이지'로 전직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는 파이터와 달리 속성 공격(차지)을 예고하며, 2차 단계에서는 방어적인 스킬과 파티 유틸리티(위협)를 배우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글에서는 페이지의 추천 빌드와 스킬 분배 순서, 그리고 각 단계별 상세 설명과 운영 팁을 알려드립니다.
무기 선택
페이지는 검과 둔기 두 종류의 무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검: 공격 속도가 '빠름'으로 둔기보다 빠르고, 최소/최대 데미지 편차가 적어 안정적인 데미지를 줍니다.
- 둔기: 공격 속도가 '보통'으로 검보다 느리지만, 최대 데미지가 더 높습니다. 검에 비해 무기 및 관련 주문서의 가격이 저렴한 편입니다.
무기 종류에 따라 '소드 마스터리' 또는 '메이스 마스터리'를 선택하여 찍으면 되며, 이후 스킬트리 자체는 동일합니다
페이지 핵심 스킬
- (소드/메이스) 마스터리: 무기 숙련도를 높여 최소 데미지를 보정하고 명중률을 향상시킵니다. 안정적인 데미지를 위해 우선 투자합니다.
- (소드/메이스) 부스터: 공격 속도를 2단계 향상시켜 사냥 효율을 높입니다. 특히 공격 속도가 느린 둔기 사용자에게 중요합니다.
- 파워 가드: 받는 데미지의 일정 비율을 반사하는 핵심 생존 스킬입니다. 물약 소모를 줄이고 안정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 위협: 주변 몬스터의 공격력과 방어력을 감소시키는 파티 유틸리티 스킬입니다. 파티 사냥 시 기여도가 높습니다.
페이지 2차 스킬트리 상세 공략
2차 전직 후, 우선 마스터리를 19까지 찍어 데미지 편차를 줄이고, 부스터를 6까지 찍어 최소한의 공격 속도를 확보합니다. 특히 부스터는 Lv. 35 무기 '하이랜더'(검) 사용 시 빠른 공격 속도 시너지를 위해 먼저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 페이지 스킬트리의 핵심은 버프 관리의 편의성에 있습니다. 핵심 생존기인 파워 가드 30레벨과 공격 속도 버프인 부스터 9레벨은 지속 시간이 90초(1분 30초)로 동일합니다. 이 점을 활용하여 두 버프의 레벨을 맞춰 지속 시간을 통일하면, 버프를 한 번에 관리하기 매우 용이해져 사냥 피로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아래 빌드들은 이 버프 시간 통일을 목표로 합니다.
- 스킬 순서:
- (소드/메이스) 마스터리 1 → 5 (부스터 선행)
- (소드/메이스) 부스터 1 → 6 (최소 공속 확보)
- (소드/메이스) 마스터리 19
다음부터는 1차 전직 때 스킬트리 선택에 따라 빌드가 나뉩니다.
스킬 빌드 1-1: 아이언 바디 (M)
1차 때 슬래시 블러스트 (M) 한 빌드입니다.
- 스킬 순서:
- 아이언 바디 20 (M)
- (소드/메이스) 마스터리 20 (M)
- 위협 3
- 파워 가드 30 (M)
- (소드/메이스) 부스터 9
- 장점: 파티 시 '분노' 버프로 '통증완화제'가 지워지는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아이언 바디로 안정적인 방어력을 확보합니다.
- 단점: 파워 가드 마스터 시점이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 추천 대상: 파티 사냥을 자주 하거나, 통증완화제 관리가 번거로운 유저
스킬 빌드 1-2: 파워가드 (M)
1차 때 슬래시 블러스트 (M) 한 빌드입니다.
- 스킬 순서:
- 위협 3
- 파워 가드 30 (M)
- (소드/메이스) 부스터 9
- 아이언 바디 20 (M)
- (소드/메이스) 마스터리 20 (M)
- 장점: 핵심 생존기인 파워 가드를 빠르게 마스터하여 안정성을 극대화합니다.
- 단점: 파티원의 '분노'나 '블레스' 버프를 받으면 통증완화제가 지워질 수 있습니다. 결국 아이언 바디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추천 대상: 솔로 플레이 비중이 높거나, 파워 가드의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유저
스킬 빌드 1-3: 슬래시 블러스트 (M)
1차 때 아이언 바디 (M) 한 빌드입니다.
- 스킬 순서:
- 슬래시 블러스트 20 (M)
- (소드/메이스) 마스터리 20 (M)
- 위협 3
- 파워 가드 30 (M)
- (소드/메이스) 부스터 9
- 장점: 1차 때 부족했던 다수 공격 능력을 빠르게 보완할 수 있습니다. 통증완화제가 필요 없습니다.
- 단점: 슬래시 블러스트 마스터 전까지 다수 사냥이 다소 답답할 수 있습니다.
- 추천 대상: 1차 때 아이언 바디 선마 트리를 선택했던 유저
위협 마스터 및 파이널 어택
이 구간에서는 남은 핵심 스킬인 '위협'을 마스터하고, '파이널 어택' 습득 여부를 결정합니다.
파이널 어택 활용에 대하여:파이널 어택은 단일기에는 좋지만 다수기(슬래시 블러스트)와는 상성이 좋지 않고(데미지 분산), 저레벨 효율이 낮으며, 4차 이후 활용도도 떨어져 2차 단계에서는 찍지 않거나 가장 마지막에 찍는 것을 추천합니다. 특히 '사잇길' 사냥터에서는 슬래시 블러스트가 강제되므로 파이널 어택은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스킬 빌드 2-1: 파이널 어택 최대한 늦게 찍기
- 스킬 순서:
- 위협 1 → 20 (M)
- Lv. 67부터 SP 모으기 시작
- SP 30개가 모이면 파이널 어택 30 (M)
- 장점: 위협 마스터로 파티 유틸 및 사냥 보조 능력을 먼저 확보합니다. 파이널 어택으로 인한 딜레이나 비효율을 겪지 않습니다.
- 단점: 파이널 어택을 배우는 시점이 매우 늦습니다.
- 추천 대상: 안정성과 편의성을 중시하고, 사잇길 등 다수 사냥터 활용 비중이 높은 유저
스킬 빌드 2-2: 파이널 어택 15 / 15 (비추천)
- 스킬 순서:
- 위협 15
- Lv. 57부터 SP 모으기
- SP 15개 모이면 파이널 어택 15 → 파이널 어택 30 (M)
- 장점: 이론상 단일 대상 최대 데미지가 약간 높을 수 있습니다.
- 단점: 저레벨 파이널 어택 효율이 낮고, SP를 모으는 동안 성장이 정체되며, 슬래시 블러스트 사냥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 추천 대상: 파이널 어택을 꼭 사용하고 싶은 유저 (단, 단점을 감수해야 함)
- 페이지 스킬트리의 핵심은 마스터리, 부스터, 위협, 파워 가드입니다.
- 파이널 어택은 2차 단계에서는 찍지 않거나, 찍더라도 SP를 모아 가장 마지막에 마스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파워 가드(30)와 부스터(9)의 지속 시간(90초)을 맞추면 버프 관리가 매우 편리해집니다.
- 남는 SP는 1차 스킬 중 부족했던 아이언 바디 또는 슬래시 블러스트 마스터에 투자합니다.
안정적인 방어 능력과 파티 유틸리티를 갖춘 페이지의 스킬트리였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3차 나이트 스킬트리 대해 다루겠습니다.